크리스틴 뷔시 글뤽스만(Christine Buci-Glucksmann)의 에페메르의 미학을 읽다가 슈만의 나비와 리게티의 글리산디에 대한 언급이 나와서 옮겨적고 번역해둔다.
"에페메르(éphémère : 하루살이, 덧없음, 일시적임)는 사물, 존재, 실존의 간격과 지각할 수 없는 흐름 속의 시간을 잡는다. '사이'에 있는, 현재의 현존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모든 것. 그러니까 예측할 수 없는 것을 주시하는 실존과 정치의 전략을 의미한다. 다원적인 모습과 가시성을 점점더 세상의 인과관계와 무관한(acosmique) 공공 공간의 조건으로 삼는,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의미한, 미학이자 정치학이다." 크리스틴 뷔시 글뤽스만, 에페메르의 미학, 파리, 갈릴레, 2003, 25-26쪽 1
"따라서 에페메르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의미의 '시간의 단절'과같은 단 한 순간의 에페메르와, 그리고 오로지 경험했던 현재라는 에페메르와도 구분되어야한다. 에페메르는 시간을 맞이하고, 수용하고, 예측할 수 없더라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간의 예술이다. 에페메르는 단지 그것이 연루된 현재의 헤도니스트의 쾌락보다는 일본의 마(공, 간격, 간격두기) 문화의 간격 추구에 가깝다. 왜냐하면 모든 지나감은 덧없고 불안정하고, '만남'으로서의 계기의 중심에 들어가는 것은 시간을 가로지르고 시간에 리듬과 뾰족함과 농도와 요동을 주는 일이기 때문이다. 리게티의 글리산디의 소리의 정지와 울림 혹은 슈만의 나비를 떠올리게 하는 모든 음악가의 혜안이다. 에페메르는 시간이 아니라 민감해진 시간의 울림이다." 2
미셸 슈나이더가 언급했던 슈베르트와 슈만의 시간과도 만난다. (참고: 2023.05.20 - [영상소리] - 프란츠 슈베르트의 방랑자 환상곡 D. 760)
나는 나비의 날개가 부벼짐에 시공간이 진동하며 여기저기서 시간이 창발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언급된 슈만과 리게티의 곡의 링크를 걸어둔다.
Robert Schumann, Papillons, op. 2, 1829-1831. (piano : Claudio Arrau)
(피아노: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Györy Ligeti, Glissandi, 1957.
- « L'éphémère capte du temps dans les flux imperceptibles et les intervalles des choses, des êtres et de l'existant. Tout ce qui est « entre » et peut échapper à la présence du présent. Il implique donc une stratégie existentielle ou politique attentive à l'imprévisible. Une esthétique, donc, mais aussi une politique, au sens d'Hannah Arendt, qui a fait des apparences et d'une visibilité plurielle les conditions mêmes d'un espace public de plus en plus acosmique. » Christine Buci-Glucksmann, Esthétique de l'éphémère, Paris, Galilée, 2003, pp. 25-26. [본문으로]
- « Il convient donc de différencier l'éphémère du seul instant comme "coupure du temps" au sens aristotélicien, mais aussi du seul présent vécu. L'éphémère est un art du temps, qui consiste à l'accueillir, à céder au temps (tempri cedere), et à l'accepter tel qu'il est, fût-il imprévisible. Il est beaucoup plus proche de la quête de l'intervalle propre à la culture japonaise du Ma (espacement, intervalle, vide) que de la seule jouissance hédoniste du présent qu'il implique. Car tout passage est fugutif et fragile, et rentrer au cœur de l'occasion comme "rencontre" implique de traverser le temps, de lui donner son rythme, ses aiguillons, ses intensités et ses intranquilités. Une sagesse toute musicale en somme, qui me fait penser aux Papillons d'un Schumann, ou aux vibrations et suspensions sonores des Glissandi de Ligeti. L'éphémère n'est pas le temps mais sa vibration devenue sensible. », Ibid., p. 26. [본문으로]
'영상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BWV 988, 평균율 BWV 846 (4) | 2023.05.29 |
---|---|
프란츠 슈베르트의 방랑자 환상곡 D. 760 (4) | 2023.05.21 |
영화 아무르, 슈베르트 즉흥곡 D. 899 (2) | 2023.05.15 |
인공지능은 쇼팽처럼 작곡할 수 있을까? (2) | 2023.05.06 |
다음 소희, 모두가 책임지는 사회가 되길 바라며 (6) | 2023.04.14 |
지구가 멈추는 날, 전쟁 종식을 위한 해법? (4) | 2023.04.10 |
베토벤 교향곡 9번, 유럽 연합 청소년 관현악단 (4) | 2023.04.09 |
스칸다나비아의 행복의 비밀 (4)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