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천체

야콥 폰 윅스킬의 '동물들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by JeanJac 2023. 3. 10.

말벌의 경우, 한 개체의 작업 형태가 집단 작업 형태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조물 형태 변화를 관찰할수있는 본보기. 각 개체의 비교적 단순한 인식체계가 복잡하게 엮여나갈수있음을 보여준다. (참고: 2023.03.09 - [예술/예술자료] - [프랑스 국립 디지털 도서관] 샤를 자네의 개미, 말벌, 꿀벌 연구)

 

[프랑스 국립 디지털 도서관] 샤를 자네의 개미, 말벌, 꿀벌 연구

둥지들의 형태에 대해 찾아보고 있었는데, 말벌의 집의 형태가 눈에 띄어서 찾아보다가, 갈리카 자료도 검색해봤다. 샤를 자네(Charles Janet)(1849-1932)의 '개미, 말벌, 꿀벌 연구. 23, 말벌 관찰' 자료

a4riz.tistory.com

이와같은 말벌의 작업은 인간도 참고할 수 있겠는데, 사고 진행의 기초적 발전 과정으로 삼을수있다. 모듈화 및 모듈의 조합으로 건축물 및 사고 과정을 조직할수있겠다. 

 

더 참고해볼 자료로 야콥 폰 윅스킬(Jakob von Uexküll)(1864-1944)의 '동물들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각주:1]가 있겠다. Monoskop에서 불어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읽었는데, 번역본 출판이 1965년이니까 아직 저작권이 풀린 것은 아니려나? 아무튼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 : https://monoskop.org/Jakob_von_Uexk%C3%BCll

 

Jakob von Uexküll - Monoskop

Born September 8, 1864(1864-09-08)Keblaste, Mihkli, Läänemaa (today Estonia)Died July 25, 1944(1944-07-25) (aged 79)Capri, ItalyWeb Aaaaarg, Wikipedia, Academia.edu A Foray Into the Worlds of Animals and Humans: A Picture Book of Invisible Worlds, 1934

monoskop.org

윅스킬의 연구에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움직임을 보이는 곤충이라할지라도 그는 기계가 아니라 '기계공'이라고 할수있다.

 

야콥 폰 윅스킬이 발전시킨 '환경'[각주:2] 개념은 조르주 캉길렘, 질베르 시몽동,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 등의 이론에서 차용, 발전되는 모습을 볼수있다. 조르주 캉길렘은 환경을 신호의 의미 가치를 지닌 자극의 집합체라고 정의했다고 하고[각주:3],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는 '천개의 고원'에선 "'환경' 개념은 단일하지 않다: 생명만 다른 생명과 지속적으로 환경을 지나는게 아니라 환경도 다른 환경으로 지난다, 본직절으로 소통하며."[각주:4]라고 했다. 

 

브노아 괴츠(Benoît Goetz)의 '거미, 도마뱀, 진드기: 들뢰즈와 하이데거가 읽은 윅스킬'(« L’araignée, le lézard et la tique : Deleuze et Heidegger lecteurs de Uexküll »[각주:5])도 이와관련해서 여러차례 읽고 참고하는 텍스트.

  1. Jacob von Uexküll, Mondes animaux et monde humain, Trad de l'allemand par Philippe Muller, Paris, Denoël, 1965 [본문으로]
  2. 'Umwelt'의 프랑스어 번역어로는 'milieu'가 많이 쓰인다. 다음 자료는 용어에 대해 정리를 잘 해놓았다. Camille Chamois, « Les enjeux épistémologiques de la notion d'Umwelt chez Jakob von Uexküll, in Tétralogiques, n°21, 2016, pp. 171-194, disponible sur le site de tétralogiques : https://www.tetralogiques.fr/spip.php?article37 (consulté le 10 mars 2023. [본문으로]
  3. « Georges Canguilhem décrit le milieu, tel que le conçoit Uexküll, comme un “ensemble d’excitations ayant valeur et signification de signaux”. “Pour agir sur le vivant, poursuit-il, il ne suffit pas que l’action physique soit produite, il faut qu’elle soit remarquée. » Benoît Goetz, « L’araignée, le lézard et la tique : Deleuze et Heidegger lecteurs de Uexküll », in Le portique [En ligne], 20/2007, disponible sur la page suivante : https://journals.openedition.org/leportique/1364 (consulté le 10 mars 2023). [본문으로]
  4. 이 부분은 사실 질베르 시몽동이 발전시킨 다른 개념들과도 관련된 지점이다. « Le transcodage ou transduction, c’est la manière dont un milieu sert de base à un autre, ou au contraire s’établit sur un autre, se dissipe ou se constitue dans l’autre. Justement la notion de milieu n’est pas unitaire : ce n’est pas seulement le vivant qui passe constamment d’un milieu à un autre, ce sont les milieux qui passent l’un dans l’autre, essentiellement communicants. » Gilles Deleuze & Félix Guattari, Mille plateaux,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80, p. 384. [본문으로]
  5. disponible sur le site de l'Openedition : https://journals.openedition.org/leportique/1364 (consulté le 6 mai 2023)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