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9 파리 로댕 미술관 실내 조각들 정원의 조각들 사진에 이어서 올린다. 역시 2005년도에 후지 s1pro에 28mm 렌즈로 찍은 사진들이다.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들도 그냥 올린다. 2023.06.22 - [미술전시] - 파리 로댕 미술관 정원의 조각들 파리 로댕 미술관 정원의 조각들 꽤 자주 로댕미술관에 가서 시간을 보냈다. 정원을 한가하게 거니는 일이 특히 좋은 곳이다. 2005년도의 사진이다. 조각들의 몸짓, 표정 하나하나에 신기해하고 감동하던 때였다. 심지어 조각들 a4riz.tistory.com 그때나 지금이나, 직접보나 사진으로보나, 봤던거 또 보거나 그래도 아무튼 굉장하다. 2023. 6. 23. 파리 로댕 미술관 정원의 조각들 꽤 자주 로댕미술관에 가서 시간을 보냈다. 정원을 한가하게 거니는 일이 특히 좋은 곳이다. 2005년도의 사진이다. 조각들의 몸짓, 표정 하나하나에 신기해하고 감동하던 때였다. 심지어 조각들 옆에 있던 나무들의 형상까지도. 일단 나무들이나 조각들이나 아는 척하지 않고, 그냥 조용히 있을뿐이어서 좋은지도 모르겠다. 천천히 시간을들여 알아가는 것의 가치를 아는 사람들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도 비슷한 이유일까? 후지s1pro에 28mm렌즈를 사용해 찍은 사진들이다. 한국에서 가져와서 정말 오랫동안 사용한 카메라다. 2023.04.21 - [미술전시] - 옛날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2005년 오르세미술관 사진 옛날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2005년 오르세미술관 사진 구글포토에 저장해놓은 사진이 너무 많다. 블로그에.. 2023. 6. 22. [블로그 3차 개편] 예술장작 블로그 블로그 3차 개편 -2023년 2월 18일 블로그를 열고부터 읽는 사람들을 고려한 여러가지 방식의 글쓰기를 시도해보았으나, 어떻게 글을 써도 방문자가 별로 없는 것은 마찬가지. -> 여기서 좀더 읽을 사람들을 생각해서 글을 쓰는 쪽으로 기울면, 내가 추구하는 글쓰기 방식과 너무 멀어짐. 개인적인 방식의 글쓰기와 자료 정리 목적에 집중하도록. -방문자수, 구독자수, 하트수 등은 오히려 독이되는 요소가 될 수 있겠음. -> 되도록 신경꺼야겠음. -재밌는 티스토리 블로그들을 찾으려고 꽤 시간을 투자했으나, 5-10개 정도 발견했나? 그것도 눈에 잘 안띄는 편인 블로그이거나 글을 잘 안 쓰거나 더이상 글을 쓰지 않는 블로그들. 더 시간투자하기는 힘들겠음. -애드센스는 2023년 4월 26일에 승인되었으나, 지금.. 2023. 6. 19. 베토벤 교향곡 9번, 유럽 연합 청소년 관현악단 화창한 일요일 오후, 고양이는 햇빛 아래 자고 있고, 베토벤 교향곡 9번을 틀었다. 영상에서 음악을 듣는 사람들의 표정을 본다. 어린 사람, 나이든 사람, 편안하게, 또 진지하게 음악을 듣는 모습. 아이들도 강아지도 함께 시간을 보내는 모습. https://www.youtube.com/watch?v=E_Sb8oS_mks Beethoven Symphony No. 9. Vasily Petrenko & the European Union Youth Orchestra The Young Euro Classic festival in Berlin's Konzerthaus, in the August 4, 2019. https://www.konzerthaus.de/en/ Konzerthaus Berlin Konzertha.. 2023. 4. 9. [블로그 2차 개편] '장작의 빙산' 블로그 블로그 이름을 '장작의 빙산'으로 결정. 결국 장작과 빙산의 이미지를 살리는 결정. 다음은 2013년에 그렸던 장작의 이미지들인데 이번 블로그에서 살려낸다. 여기에 '빙산의 일각'의 빙산을 더해서 다음과 같은 상황. 아포리(aporie)와같은 상황이기도함. 블로그 이름도 이처럼 좀 이상하기도하다. 'JeanJac's iceberg' 혹은 'firewood & iceberg'라고 표기할까도 고민. '빙산의 일각'은 블로그를 시작하며 생각했던 이미지. 2023.02.23 - [낙서] - [블로그를 열며]지식 체계 관리에 있어서 빙산의 일각 부분의 중요성 [블로그를 열며]지식 체계 관리에 있어서 빙산의 일각 부분의 중요성 빙산의 일각을 무시할 수 없다. 이 부분이 수면 아래에 있는 훨씬 더 큰 부분을 잡아주고.. 2023. 4. 7. [블로그 1차 개편] '예술 학문 탐구' 블로그로 정비 블로그 제목을 '연습장'에서 '예술 학문 탐구'로 변경. 블로그가 다루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목. 이후 이와같은 내용을 함축한 제목을 찾아서 한번더 변경할 예정. '빙산의 일각'같은 제목도 고려 대상. '빙산의 안보이는 부분의 넘쳐나는 질문들을 어떻게 빙산의 보이는 부분으로 조직해낼 수 있을가?'와 같은 문제 의식을 담은 공간이기 때문. 하지만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될 적절한 제목은 아닌 것 같음. 적절한 제목을 찾기 위해서는 조금더 시간이 걸릴 것 같음. 2023.02.23 - [낙서] - [블로그를 열며]지식 체계 관리에 있어서 빙산의 일각 부분의 중요성 [블로그를 열며]지식 체계 관리에 있어서 빙산의 일각 부분의 중요성 빙산의 일각을 무시할 수 없다. 이 부분이 수면 아래에 있는 훨씬 더.. 2023. 4. 3. [블로그를 열며]지식 체계 관리에 있어서 빙산의 일각 부분의 중요성 빙산의 일각을 무시할 수 없다. 이 부분이 수면 아래에 있는 훨씬 더 큰 부분을 잡아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니까. 이 블로그는 빙산의 일각 부분 지식 체계를 정리하고 관리하는 목적으로 열었다. 이에 대해서는 방금 작성한 공지사항 참고. 2023.02.23 - [분류 전체보기] - 블로그 정보 & 원칙 블로그 정보 & 원칙 형식: 연습장. 한 호흡 정도의 짧은, 자유로운 쓰기와 정리. 목적: 공부 자료 정리. 관리 중인 지식의 빙산의 일각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 및 유지 주목적. 이를 통해 수면 아래 지식 부분 관리를 a4riz.tistory.com 이 블로그는 다음과같은 언어처리도구가 해낼수있는 기능 일부 중 지식정리체계 관리 도구의 하나가 될수있다고 판단. 2023.02.19 - [기술/ChatGPT].. 2023. 2. 23. 허블과 제임스 웹 망원경의 차이에 대해 ChatGPT와 대화 ChatGPT와 대화. 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광선을 포착한 제임스 웹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부분에서 논란이 있었는데, 인간의 눈에 볼 수 없는 이미지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ChatGPT는 사실과 거리가 있는 "예술적 재현"이라는 표현을 써서 이에 답변. 다시 물어보니, 자기는 그런 말 안했다고 잡아 떼며, 살짝 표현을 수정. 이후 대화에서 인간이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도록 "번역"해야한다는 표현을 씀. Quelle est la différence entre Hubble et James Webb ? "ChatGPT : Le télescope spatial Hubble et le télescope spatial James Webb sont tous deux des ins.. 2023. 2. 20. 'registre'의 의미와 번역에 대한 질문 ChatGPT와 대화. ... 2023. 2.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