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과학

ChatGPT 독서 활용: 배경지식 재정비

by JeanJac 2023. 2. 20.

모든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는 힘들고, 기초 지식 정도도 장기 기억에 담아두기 힘든 분야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 독서는 끊임없는 지식 흡수뿐만 아니라, 수정, 선택, 가지치기(펼치기와 쳐내기) 등의 재가공 과정을 요구한다는 사실.

 

ChatGPT는 요약, 정리 기능이 쓸만하고, 독서할 때, 장기기억에 저장해놓지 않은 지식을 불러오는데에 유용하다. 

 

Olivier Houdé(올리비에 우데)의 L'intelligence [지성] (Paris, Que sais-je ? / Humensis, 2021)을 읽는 중, 장 피아제에 대한 배경 지식 보강이 필요해서, ChatGPT에 질문. 

 

"ChatGPT : Jean Piaget était un psychologue suisse qui a largement contribué au domaine de la psychologie du développement. Selon Piaget, l'intelligence est une capacité qui se développe chez l'enfant au fil du temps. Il a proposé une théorie de développement cognitif en quatre stades, chacun caractérisé par des schèmes mentaux spécifiques.

Pour Piaget, l'intelligence consiste en une capacité d'adaptation à l'environnement, qui implique une interaction entre le sujet et le monde extérieur. Cette capacité d'adaptation se construit par l'assimilation de nouvelles expériences à des schèmes cognitifs préexistants et par l'accommodation, c'est-à-dire l'ajustement de ces schèmes cognitifs pour prendre en compte les nouvelles expériences.

Selon Piaget, l'intelligence se développe au cours de quatre stades :

Le stade sensori-moteur (de la naissance à environ 2 ans) : l'enfant apprend à connaître son environnement par ses sens et ses mouvements.

Le stade préopératoire (de 2 à 7 ans) : l'enfant commence à utiliser des symboles (comme des mots ou des dessins) pour représenter des objets et des idées.

Le stade opératoire concret (de 7 à 12 ans) : l'enfant commence à raisonner logiquement et à comprendre les relations entre les objets.

Le stade opératoire formel (à partir de 12 ans) : l'enfant acquiert une pensée abstraite et hypothético-déductive, lui permettant de raisonner sur des concepts complexes.

Ainsi, pour Piaget, l'intelligence est un processus actif de construction et de réorganisation des schèmes cognitifs en réponse aux nouvelles expériences, qui se développe de manière progressive tout au long de la vie."

이후 답변을 한국어로 번역 요청.

"챗GPT: 장 피아제는 발달심리학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스위스 심리학자였습니다. 피아제는 지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들 안에서 발전하는 능력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4단계의 인지 발달 이론을 제안하였는데, 각각은 특정한 인지 체계를 특징으로 합니다.

피아제는 지능이 주체와 외부 세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라고 보았습니다. 이 적응 능력은 새로운 경험들을 기존의 인지 체계에 도입하고, 이를 조정하여 새로운 경험을 수용하는 과정인 수용과 조정을 통해 구축됩니다.

피아제에 따르면, 지능은 4단계를 거쳐 발달합니다:
1. 감각 운동 단계 (출생에서 약 2세까지) : 아이는 감각과 운동을 통해 환경을 배우게 됩니다.
2. 선행 기능 단계 (2세에서 7세까지) : 아이는 단어나 그림과 같은 상징을 사용하여 대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3. 구상 연산 단계 (7세에서 12세까지) : 아이는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대상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4. 형식 연산 단계 (12세 이상) : 아이는 추상적인 사고와 가설적 추론을 통해 복잡한 개념을 다룰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피아제에 따르면 지능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존 인지 체계의 구축과 재조정에 대한 능동적인 과정으로서 삶의 전 과정 동안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것입니다."

이번엔 자세한 참고 자료 요청.

한국어로 번역 요청.

나이대별 발달단계에 자세한 대한 정보 ChatGPT에 다시 요구.

 

올리비에 우데 책의 다음 부분 독서 중에 ChatGPT에 관련 지식 문의.

« C'est dès lors par l'idée de stades psychologiques que Piaget explique l'origine du système logique. Selon lui, la construction de l'intelligence de l'enfant est incré mentale, car systématiquement liée, stade après stade, l'idée d'acquisition et de progrès à partir des actions propres (celles de l'enfant), de leur coordination et de leur intériorisation ou représentation mentale. C'est ce que l'on appelle « le modèle de l'escalier ». Chaque marche correspondant à un grand progrès, à un stade bien défini ou mode (structure) unique de pensée dans la genèse de l'intelligence logico-mathématique. Ces stades sont : l'intelligence sensori-motrice du bébé (0-2 ans), fondée sur ses sens et ses actions, puis l'intelligence logique conceptuelle (nombre, catégorisation, raisonnement), d'abord concrète chez l'enfant (vers 7 ans), puis abstraite chez l'adolescent (vers 12-14 ans) et l'adulte.

L'intérêt pour l'enfance, parmi les philosophes et les scientifiques, n'était évidemment pas nouveau lorsque Piaget a conçu cette théorie. Au xviir° siècle, 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en avait déjà fait, avec l'Émile, un point fort des Lumières (à propos de l'éducation et de l'influence de la société) et, au xIx* siècle, Darwin, on l'a vu, y a consacré de minutieuses études (à propos des expressions du visage et de l'émergence du langage) sur son propre bébé, Doddy Darwin. Ce qui a été radicalement nouveau, avec Piaget, c'est de considérer l'enfance comme le terrain expérimental de l'épistémologie - pour les raisons théoriques évoquées plus haut - au sens des mécanismes généraux de la construction des connaissances et du raisonnement, qu'il s'agisse de logique, de mathématiques ou de physique. Avec cette « épistémologie génétique » (ontogenèse), c'est le regard porté sur l'enfant qui a changé. Il est devenu un « petit savant » qui s'interroge sur le réel, bricole, expérimente et ainsi (re) découvre les lois du monde : un « enfant mathématicien » (la construction du nombre), « logicien » (le raisonnement), etc. Etudier l'évolution des comportements de l'enfant revient dès lors à étudier la science en marche du bébé à l'adulte - « l'embryologie de la raison », selon l'expression de Piaget, c'est-à-dire les mathématiques, la logique, la physique, etc. en développement. C'est une forme d'histoire des idées et des sciences (dont l'enfant est l'acteur principal) qui s'opère en un raccourci saisissant (de 0 à 16 ans environ).

Cette approche épistémologique de l'enfance explique sans doute pourquoi la théorie de Piaget a séduit bien au-delà de la psychologie elle-même. En témoignent, dès le début de sa carrière (lors d'un séminaire à Davos en 1921), ses conversations avec Albert Einstein (1879-1955) à propos des concepts physiques chez l'enfant, mais aussi cet hommage que lui rendait en 1990 l'astrophysicien Hubert Reeves :

"Le psychologue suisse Jean Piaget a été l'un des premiers à introduire la dimension historique dans l'étude de l'acquisition des connaissances. Il a reconnu d'emblée que la logique est un processus en devenir, soumis à une évolution. [...] La question posée fait surgir une évidence incontournable : le problème de l'origine de la logique est un problème d'ordre psychologique et biologique*." » Olivier Houdé, L'intelligence, Paris, Que sais-je ? / Humensis, 2021, pp. 43-44.

*H. Reeves, Malicorne, Paris, Seuil, 1990, p. 49.

관련 지식에 대해 지속적인 검토와 확장 필요. 위의 지점에서 지식 확장의 여러 방향에도 ChatGPT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보임. 

 

위의 내용도 ChatGPT에게 번역을 요청해봄.

"피아제는 심리학적 단계의 개념을 통해 논리 체계의 기원을 설명합니다. 그에 따르면 아동의 지성 구축은 반복적으로 아동의 행동 (아동 자신의 행동), 그들의 조정 및 내면화 또는 정신적 표상을 통해 습득 및 진보를 나타내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이것은 "계단 모델"이라고 불리며, 각 단계는 대대적인 진보, 명확하게 정의된 단계 또는 논리-수학적 지성의 발생에 있어서 고유한 사고 방식 (구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단계는 아동의 감각-운동 지성 (0-2세)을 포함하며, 그것은 그들의 감각과 행동을 기반으로합니다. 이어서, 첫째로 유아기 아동 (7세 경)에서 구상적인 논리 개념의 지성이 형성되며, 둘째로 청소년 (12-14세) 및 성인에서 추상적으로 표현됩니다.
Piaget가 이 이론을 구상할 때, 철학자 및 과학자들 중에서 아동에 대한 관심은 당연히 새로운 것은 아니었습니다. 18세기에는 Jean-Jacques Rousseau (1712-1778)가 'Emile'에서 인류 복지 (교육과 사회의 영향)에 관한 것과 관련하여 빛나는 조명의 중심 주제로 만들었으며, 19세기에는 Darwin이 자신의 아기인 Doddy Darwin에 대해 (얼굴 표현 및 언어의 발생과 관련하여) 철저한 연구를 바침으로써 그것에 전념했습니다. Piaget와 함께 묘사된 이론에서 근본적으로 새로운 것은 어린 시절을 논리, 수학 또는 물리학과 같은 지식 및 추론의 구축의 일반 메커니즘의 실험적인 영역으로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 '유전적인 에피스테몰로지' (발생론)에서, 어린이에 대한 시선이 변경되었습니다. 그것은 현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작은 학자'가되어, 실험하고 발견하며, 세계의 법칙을 (재)발견합니다. 그리고 어린 시절 행동의" (끊김)
Olivier Houdé, L'intelligence, Paris, Que sais-je ? / Humensis, 2021, pp. 43-44. ChatGPT가 한국어로 번역.

끊어져서 다시 요청. ChatGPT의 번역

"피아제는 심리적 단계 개발 개념을 통해 논리 시스템의 기원을 설명합니다. 그에 따르면 아동의 지능 구축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각 단계에서 자신의 행동 (아동의 행동)의 획득 및 발전 아이디어가 체계적으로 연결되고 조정 및 내적화 또는 정신적 대표로 발전합니다. 이것이 "계단 모델"이라고합니다. 각 계단은 큰 발전, 명확하게 정의된 단계 또는 논리-수학적 지성 발생에서 독특한 사고 구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단계는 아동의 감각-운동 지능 (0-2 세)을 포함하며, 그것은 그들의 감각과 행동에 기초합니다. 그리고 첫 번째 추상적인 논리 개념적 지능 (숫자, 범주화, 추론)은 어린이에서 구체적이며 (약 7 세), 그 다음 청소년에서 (약 12-14 세) 및 성인에서 추상적으로 발전합니다.
철학자와 과학자들 중에서 어린 시기에 대한 관심은 Piaget가 이 이론을 구상한 때에 이미 새로웠습니다. 18 세기에는 Jean-Jacques Rousseau (1712-1778)가 "에밀"에서 교육 및 사회의 영향에 관한 계몽주의 (Lumières)의 중심으로 어린 시기에 대한 이야기를 했으며, 19 세기에는 다윈이 자신의 아기인 도디 다윈에 대한 얼굴 표정 및 언어의 등장과 관련한 철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Piaget와 함께 한 것은 이론적으로 더욱 새로웠습니다. 그는 어린 시기를 어린이의 지식 및 추론의 일반적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실험적인 대상으로 간주합니다. 이는 논리, 수학 또는 물리학에 관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이 "유전적 지식론" (ontogenèse)을 통해 아동에 대한 시선이 변화되었습니다. 아동은 세계의 법칙을 다시 (재)발견하면서 현실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실험을하며 고쳐나가는 "작은 학자"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단" (끊김)
Olivier Houdé, L'intelligence, Paris, Que sais-je ? / Humensis, 2021, pp. 43-44. ChatGPT가 한국어로 번역.

같은 문장의 의미가 새로워진 번역이 나온 부분이 흥미롭다. 

댓글